[돌파 감염이 많이 발생한다고 느껴지는 이유]
■ 돌파 감염이란?
특정 감염병 예방을 위해 적절한 방법으로 백신 접종을 받고 항체 생성 기간이 지난 후에도 해당 질병에 감염되는 것을 '돌파 감염'이라고 해요.
■ 100% 예방을 장담하는 백신은 존재하지 않아요.
예방접종 후에도 돌파 감염이 발생하는 이유는 다양한데 개인의 면역기능, 몸 상태, 체질 등에 따라 백신 효과가 떨어지는 경우, 접종 후 시간이 지나면서 항체의 체내 농도가 점차 낮아지는 경우, 바이러스 변이로 인해 항원 결정 부위가 변하는 경우 등 기존의 항체가 효과를 발휘하지 못해 돌파 감염이 발생할 수 있어요.
■ 확진자 절반이 돌파 감염?
그렇다면 백신이 효과가 없는 걸까요?
■ 이해를 쉽게 하기 위해 교통사고로 예를 들어 볼게요.
-> 하지만 고속도로 통행자 중 안전벨트 착용자의 비율이 90%가 넘기 때문에 교통사고로 응급실을 내원한 사람의 안전벨트 착용 비율이 높아지는 것은 자연스러운 현상이에요. 마찬가지로 전 국민의 백신접종률(2차)이 86%가 넘기 때문에 돌파 감염 비율이 높아지는 것도 자연스러운 현상이에요.
■ 올바른 백신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서
-> 미접종자 중의 감염자 비율과 백신접종자 중의 감염자 비율을 확인해야 해요.
--> 미접종군은 3차 접종 완료 군에 비해 코로나19 감염 5.2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어요.
■ 예방접종력에 따른 중증화율을 비교하면 백신의 효과는 더 명확해요.
-> 미접종 확진 군의 중증화율은 3차 접종 확진자의 중증화율에 비해 31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어요.
※ 전 세계가 처음 겪어 보는 불확실한 코로나19 유행상황에서 확실한 것은 코로나19 예방접종의 피해 예방 효과예요. 우리들의 일상을 하루빨리 되찾을 수 있도록 적극적인 예방접종 참여에 동참해주세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