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사고] 개인형 이동장치 안전하게 타기
■ 개인형 이동장치 안전하게 타기
최근 전동 킥보드 등 개인형 이동장치로 인한 안전사고가 급격히 증가함에 따라 정부가 행동수칙을 마련했어요.
2017년도부터 지난해까지 최근 5년 동안 개인형 이동장치 관련 교통사고 통계에 따르면 2017년 117건에서 지난해 1735건으로 5배 가까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어요. 사망자도 2017년 4명에서 지난해 19명으로 늘었어요.
정부가 도로교통법 개정으로 개인형 이동장치 관련 안전제도를 강화했으나 아직 실생활에 정착되지 않아 관계 중앙부처와 지방자치 단체, 한국소비자원이 합동 홍보(캠페인)에 나서기로 했어요.
'개인형 이동장치 안전하게 타기' 이용 전 • 중 • 후 3단계 행동수칙은 이용자의 위험행동 분석을 통해 직관적으로 쉽게 알아볼 수 있도록 핵심적인 행동을 발굴해 반드시 지켜야 할 내용으로 구성되었어요.
□ 개인형 이동장치 위험행동
- 청소년 무면허 운전
- 2인 탑승
- 보도운행에 따른 보행자 사고
- 안전모 미착용
- 야간 등화장치(식별띠) 미작동
- 위험장소에 기기 방치 등
3단계 행동수칙에 따라 이용 전에는 안전모, 보호대 등 안전용품을 착용하고 이용 중에는 자전거도로나 도로의 우측통행으로 안전한 주행 습관을 갖도록 해야 해요. 이용 후에는 통행에 방해되지 않도록 주차해요.
행동수칙은 이용자의 인식 개선을 넘어 행동이 습관화할 수 있도록 대형마트, 편의점, 공원 등 유동인구가 많은 곳과 개인형 이동장치가 자주 이용되는 장소 등을 중심으로 홍보가 이뤄질 예정이에요.
전국 지자체에서는 안전한 개인형 이동장치 문화 정착을 위해 9700여 명이 안전 보안관 등을 통해 지역사회 주민을 대상으로 한자체 홍보(캠페인)를 집중 전개해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