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노인] 의약품 복용 안전수칙
■ 의약품 부작용, 심각한 문제인가요?
- 국내 신고된 환자 수는 한 해 43만 명, 2700억 원의 추정 의료비로 하나의 큰 사회문제로 자리 잡은 의약품 부작용 여러 만성질환으로 동시 복용, 중복 복용할 위험이 있는 65세 이상 고령자의 경우 더욱더 각별한 주의가 필요해요. 노인 응급입원 원인 중 "의약품 부작용" 수치가 2/3 이상을 차지한다는 미국 매사추세츠 의학 협회의 연구 보고도 있어요.
■ 노인주의 의약품
□ 해열제
- 두통, 관절염 등 통증 해소에 사용
- 위장관에 영향을 미쳐 소화불량, 궤양, 출혈 등이 발생 위험
- 심장 기능을 저하시켜 부종, 혈압상승, 심부전의 부작용이 뒤따를 수 있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
□ 항정신병제
- 치매환자의 행동장애 치료에 사용
- 가만히 있지 못하고는 정좌불안, 입 오물거림, 눈 깜빡임 등의 운동이상증과 같은 항콜린작용이 나타날 수 있음
- 회복이 늦거나 치료가 어려운 부작용이기에 예방이 중요
□ 심환계 항우울제
- 대표적인 우울증 치료제
- 기립성 저혈압, 졸림, 변비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신중히 복용해야 함
- 녹내장 • 불안정협심증 • 부정맥 • 전립선대비증 : 증상이 악화 위험
□ 장기 기속형 벤조다이아제핀
- 심한 불안증 치료에 사용
- 몸의 여러 부분이 조화를 잃어 운동을 하고자 해도 하지 못하는 운동 실조가 발생할 수 있음
- 자동차 사고, 낙상, 고관절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어 위험
■ 고혈압약 올바른 복용법
□ 복용방법
- 하루에 한 번, 매일 같은 시간 복용
□ 복용 이후
- 증상 발생 시 의사에게 부작용 여부를 확인
- 두통, 어지럼증, 발 부종, 기력 저하, 두근거림 등의 증상이 나타나면 꼭 부작용 여부 확인해요.
□ 주의사항
- 코막힘약, 감기약, 해열 • 진통 • 소염제와 함께 복용하는 경우 일시적으로 혈압이 높아질 수 있어 주의해요.
■ 당뇨병약 올바른 복용법
□ 복용방법
- 공복이나 식사 30분 전 복용
□ 복용 이후
- 저혈당에 각별히 주의해요. 식은땀, 떨림 등의 증상이 나타나면 주스를 통해 즉시 당분을 섭취해요.
□ 주의사항
- 고혈압약을 함께 복용하는 경우, 혈당을 변화시킬 수 있기 때문에 당뇨와 고혈압을 동시에 앓고 있다면 한 명의 주치의를 정해 진료를 받는 것을 권해요.
■ 함께 기억해요.
- 새로운 증상이 나타나면 약의 부작용이 아닌지 의심해 보기
- 약 복용 전 병원에 방문해 의사, 간호사와 상담하기
- 먼저 복용하는 약을 알려 함께 먹어도 되는지 확인하기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