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식품의약품안전처245

[식품의약품안전처/장어] 보양식 [장어] 보양식 ■ 담백 고소한 장어의 종류 □ 뱀장어 아래턱이 위턱보다 앞으로 튀어나와 있어요. 바다에서 태어나 민물에서 성장한 후 바다로 돌아가 산란해요. 등 쪽은 짙은 갈색, 흑갈색 배 쪽은 은갈색 □ 붕장어(아나고) 몸통에 가로로 흰색 점이 이어져 있어요. 구멍을 뚫고 바닥에 들어가 밤에 생활하는 야행성이에요. □ 갯장어 등 쪽은 회백색 이빨이 날카롭고, 입 옆에 수염이 나있으며, 입이 길어요. 샤브샤브나 회로 입어요. 배 쪽은 은백색 □ 먹장어(꼼장어) 눈이 퇴화돼 먹장어라고 불러요. 다른 장어와 달리 지느러미가 없어 빨간 구조의 입을 가지고 있어요. * 장어와 복숭아는 상극으로 설사를 유발할 수 있어 주의해야 해요. ■ 장어 올바른 구매•손질•보관 요령 □ 구입요령 등 빛깔이 회흑색, 다갈색,.. 2022. 6. 6.
[식품의약품안전처/요리비책] 나들이 철, 위생적이고 안전하게 [요리 비책] 나들이 철, 위생적이고 안전하게 ■ 나들이 맞이 똑똑한 장보기 요령 실온 보관 식품 : 쌀, 통조림, 라면 등 과일•채소류 냉장•냉동식품 : 햄, 요구르트, 만두 등 육류 어패류 가급적 장보기는 1시간 이내로! ■ 나들이 맞이 위생적인 도시락 준비 흐르는 물에 비누로 30초 이상 손 씻기(조리 전과 후, 조리 중 식재료가 바뀔 때) 육류 등은 중심부까지 75°C, 1분 이상 완전히 익히기(어패류는 85°C, 1분 이상) 밥과 반찬은 식혀서 개별 용기에 담기 김밥은 밥과 재료 등 충분히 익혀서 식힌 후 조리 ■ 나들이 맞이 안전한 음식 음반 조리된 음식은 아이스박스를 이용하여 차갑게 보관 및 운반 햇볕이 닿는 공간이나 자동차 안 등 온도가 높은 곳에서 방치하지 않기 ■ 나들이 맞이 건강한 음.. 2022. 6. 6.
[식품의약품안전처/연고] 올바른 사용법 [연고] 올바른 사용법 ■ 상처 연고와 흉터 연고의 올바른 사용법 우리는 일상생활을 하다 보면 부딪히거나 넘어져서 긁히고, 까지는 등 몸에 상처가 나도 모르게 생겨요. 이때 상처를 제때에 치료하지 않으면 흉터가 남게 되기 때문에 올바른 사용법을 알아 두면 좋아요. □ 상처 연고 사용 후 흉터 연고 사용 상처는 베이고, 벗겨지는 등 피부가 손상되어 있을 때를 말하며, 정도에 따라 진물이나 출혈이 나타나요. 반면 흉터는 피부가 손상됐다가 아물어서 딱지가 떨어진 후 피부에 흔적이 남아 있는 상태를 말해요. 이렇게 상처와 흉터는 다르므로 올바른 치료를 위해서는 구분해서 연고를 사용해야 해요. □ 상처 연고를 바르기 전 상처 부위 세척 상처가 났을 때는 생리식염수나 흐르는 물에 상처 부위를 씻고 지혈한 후 상처 .. 2022. 6. 3.
[식품의약품안전처/의약품] 의약품 섭취 시 주의해야 할 식품 [의약품] 의약품 섭취 시 주의해야 할 식품 ■ 알레르기 약 복용 시 항히스타민제는 재채기, 콧물, 코막힘, 눈 가려움증 등 상부기도의 알레르기 비염으로 인한 증상 완화 및 감기 치료에 사용해요. □ 피해야 할 음식 과일주스(자몽•오렌지•사과주스)는 위산도에 영향을 주어 약 흡수를 방해하고 약효를 저하시키므로 물과 함께 복용해요. 또한 술(알코올)은 중추신경을 억제하고, 졸음을 배가시킬 수 있으므로 약 복용 시 음주는 피해요. ■ 위•산도 역류질환, 의궤양 약 복용 시 히스타민 길항제(Histamine 2 Receptor Antagonist), 프로스터글란딘 제제, 제산제는 산역류, 속 쓰림, 소화 장애 및 복부에 가스가 차는 등 위장 장애 증상 치료제로 체내에서 만들어지는 위산을 줄이거나 위산으로부터 .. 2022. 5. 17.
[식품의약품안전처/고혈압] 고혈압약 복용시 이런 점을 주의하세요. [고혈압] 고혈압약 복용 시 이런 점을 주의하세요. ■ 고혈압 혈압이 지속해서 높은 상태로, 수축기 혈압이 140mmHg 이상이거나 이완기 혈압이 90mmHg 이상인 경우를 말해요. 고혈압은 자연적으로 없어지거나 완치되지 어려우므로 대부분 약물로 치료해요. * 동맥혈관 내에 생기는 압력. (수축기) 심장이 혈관을 내보낼 때, (이완기) 심장이 늘어나서 혈액을 받아들일 때 '2020년 국민건강 영양조사'에 따르면 고혈압 유병률은 우리나라 30세 이상 성인에서 약 28%, 60세 이상에서 약 48%로 나이가 들면서 높아지는 경향을 보이고 있어요. 고혈압을 조절을 못하면 심장, 뇌, 신장 등에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특별한 증상이 없더라도 혈압을 정기적으로 측정하고 적절하게 관리하는 것이 중요해요. ■ .. 2022. 5. 17.
[식품의약품안전처/어린이] 식품첨가물 섭취 수준 안전 확인 [어린이] 식품첨가물 섭취 수준 안전 확인 식품첨가물 알아보기 식품의약품안전처 식품의약품 안전평가원은 어린이(1세~18세)의 식품첨가물 섭취 수준을 평가한 결과, 일일 섭취허용량(ADI 대비 1.4% 이하로 인체 위해 우려가 없는 안전한 수준임을 확인했어요. * 일일 섭취 허용량(Acxeptable daily intake) : 의도적으로 사용하는 물질에 대해 평생 동안 섭취해도 위해영향이 나타나지 않는 1인당 1일 최대 섭취허용량 최근 식품첨가물의 안전성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이 높아지고 식품 첨가물과 이를 사용한 식품의 생산•수입량이 증가함에 따라, 평가원은 2021년부터 2023년까지 계층별로 선호하는 가공식품에 사용된 식품첨가물의 섭취 수준과 안전성을 조사하고 있어요. -> 첫해인 2021년에는 어린.. 2022. 5. 13.
[식품의약품안전처/식중독] 평균최고온도 예년보다 높아 식중독 주의 필요 [식중독] 여름 같은 날씨, 식중독 주의하세요! ■ 식중독 발생원인 기온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데 기온이 평균 1°C 상승 시 식중독 발생건수는 5.3%, 환자수는 6.2% 증가한다는 연구결과가 있으며, 실제로 폭염일수가 31일로 가장 많았던 2018년에 식중독 발생(222건, 1만 1,504명)이 가장 많았어요. * 폭염일수 : 일일 최고기온이 33°C 이상인 날의 연중 일수(최근 10년 평균 연 14.6일) 최근 10년(2012~2021년) 간 4월 평균 최고기온은 18.8°C 수준이었으나 올해 4월 평균 최고기온은 20.4°C로 예년보다 1.6°C 높아져 식중독 발생 우려도 커졌어요. * 평균 최고기온 : 매일의 최고 기온을 평균한 값 또한 최근 사회적 거리두기 해체로 모임, 행사, 야외활동 등의 증.. 2022. 5. 12.
[식품의약품안전처/벤조피렌] 노출 줄이기 [벤조피렌] 노출 줄이기 ■ 벤조피렌 벤저피렌은 다환방향족 탄수화물(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 PAH)의 일종으로, 주로 300~600°C사이의 온도에서 유기물질이 불완전 연소될 때 생성되는 물질이에요. 이러한 벤조피렌은 세계 보건기구(WHO) 상하 기관인 국제암연구소(IARC)에서 규정항 인체 발암물질(1군)이에요. 쉽게 말한다면 식품을 가열하거나 조리할 때 주성분인 탄수화물, 지방, 단백질, 불완전 연소하여 생성하는 물질이에요. 특히 식품에 불꽃이 접촉할 경우나 육류를 불에 구울 때 검게 그을린 부분, 탄 부분에 많이 함유되어 있어요. 《사례》 고온 조리나 굽기 튀기기 볶기 등의 조리과정 식품 중 기름성분 착유를 위한 열처리 과정 식품의 지방과 불꽃이 접촉하여 검게 탄.. 2022. 5. 8.
728x90
반응형